핸드헬드 게이밍PC 나 게이밍 UMPC 등으로 불리는 윈도우 기반의 휴대용 게임기는 차별화된 휴대성과 강력한 성능으로 게임을 좋아하는 유저들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필자의 경우도 디아블로 4를 어디서나 플레이 하고 싶어 MSI 의 클로 A1M-U7을 구입후 지하철이나 커피숍 등에서 편하게 게임을 즐기고 있다. 일부 휴대용 게임기의 경우 즐길 게임이 많지 않아 금방 질리기도 하는데 윈도우 기반의 제품들은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게임을 설치해 플레이 할 수 있어 질릴틈이 없다.
게임뿐만 아니라 학습이나 비즈니스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점도 윈도우 기반 휴대용 게임기의 매력이라 할 수 있다. USB 단자와 블루투스를 기본 지원해 모니터와 각종 주변기기를 연결해 미니PC로 변신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분명한 차이를 경험할 수 있는 대화면 지원으로 동영상 등을 감상할 때 한차원 높은 몰입감을 경험할 수 있다.
제품 선택의 폭이 좁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MSI를 비롯해 ASUS, 레노버, 조텍 등 다양한 제조사에서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특히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MSI 에서는 인텔 프로세서가 탑재된 모델 뿐만 아니라 타 업체들에서 사용하는 AMD 프로세서 기반의 모델도 출시해 선택의 폭을 한층 넓혔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MSI 클로 A8 BZ2EM 은 MSI 최초의 AMD 기반 게이밍 UMPC로 강력한 성능과 선명한 대화면을 선호하는 유저들을 위한 최고급형 모델이다. AMD 라이젠 Z2 Extreme 프로세서와 24GB 듀얼채널 메모리로 보급형 모델들을 압도하는 강력한 성능을 경험할 수 있으며 FSR 뿐만 아니라 RSR, RIS, AFMF 등의 최신 기술을 통해 쾌적하게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8형 대화면에 500nits 의 높은 밝기, 120Hz 주사율을 지원하는 IPS 타입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어디서나 선명하고 부드러운 영상을 즐길 수 있으며 경쟁 모델과 비교되는 긴 배터리 사용시간을 지원해 어댑터를 연결하기 힘든 외부에서 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2개의 USB 4 단자를 지원해 충전은 물론 다양한 주변기기 연결이 가능하며 최신 쿨링기술인 쿨러부스트 하이퍼플로우를 적용해 안정성은 높이고 소음은 줄였다.
처음 제품을 접했을 때 최고급형 모델이라는 것을 바로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디자인이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리뷰를 통해 디자인 및 특징을 살펴보고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MSI 클로 A8 BZ2EM는 화이트 컬러의 폴라 템페스트 WIN11과 네온그린 컬러의 네온 그린 WIN11 로 출시된다. 기본적인 디자인이나 스펙은 동일하며 컬러만 달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면 된다. (무난한 디자인을 선호한다면 폴라 템페스트 WIN11를 추천하고 톡톡튀는 파스텔톤을 좋아한다면 네오 그린 WIN11을 구입하기 바란다.)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일반 디지털 기기들과 달리 MSI 클로 A8 BZ2EM은 오프라인 에서만 구입이 가능하다. 접근성이 뛰어난 전국 일렉트로마트 매장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어 편하게 구입할 수 있을 것이다. (체험가능 매장을 지원해 직접 만져보고 구입할 수 있다.) 현재 선착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점 참고하기 바란다.
풀 KIT 의 모습으로 본체를 비롯해 전원 어뎁터와 전원 케이블, 퀵 매뉴얼, 스타트업 가이드가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99.5 x 126.0 x 24mm 의 크기와 765g 의 무게를 지원한다. 8형 대화면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7형 디스플레이 모델대비 크기가 커지긴 했지만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적용하고 무게를 최소화 해 편하게 들고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유저들의 니즈를 반영해 디자인된 모델로 모든 버튼을 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 트리거와 각종 버튼, 조이스틱 등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기의 디자인은 상당히 깔끔하고 세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시의 밤과 화려한 불빛을 형상화 한 네오 그린 컬러는 기존의 게이밍 UMPC와 달리 톡톡튀는 매력이 느껴졌다. (곡선의 멋이 살아있는 클로 8 AI+ 시리즈와 달리 직선이 강조된 클로 A1M 비슷한 느낌을 주었다.) 마감 완성도가 상당히 뛰어나며 지문이나 먼지등이 잘 묻어나지 않아 깔끔하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텔코어 울트라 200 시리즈 프로세서를 탑재한 클로 8 AI+ 와 마찬가지로 8형 대화면을 지원하지만 무게를 줄여 휴대성을 한층 높였다. (참고로 MSI 클로 8 AI+ A2VM-U7 의 노트포럼 측정 무게는 791g 이었다.) 특히 손잡이 부분에 굴곡을 적용해 자연스럽게 쥐고 아날로그 스틱이나 트리거 등을 누를 수 있으며 장시간 게임 플레이로 피로감이 쌓일 경우 책상에 손을 올려두고 게임을 즐기면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7형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MSI 클로 A1M-U7와 크기 & 디자인을 비교하고 있는 모습으로 화면크기 차가 확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형 모델대비 화면크기는 1형 커진것에 불과하지만 세로가 긴 16:10 비율을 적용해 실제로 보면 훨씬 커보인다. 하나의 단자를 지원해 주변기기 연결에 어려움을 느낄 수밖에 없었던 클로 A1M과 달리 2개의 USB 4 단자를 제공해 허브를 사용하지 않고 편하게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성능에서도 큰 차이를 보여준다.)
디스플레이의 모습으로 8형 대화면에 16:10 비율의 FHD+ (1920 x 1200) 해상도를 지원한다. IPS 타입 패널을 사용해 시야각으로 인한 불편없이 선명한 영상을 즐길 수 있으며 500nits 의 높은 밝기를 지원해 자연광이 비추는 야외에서도 높은 시인성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주사율을 GPU 프레임에 맞게 조정해 끊킴 현상을 방지하는 VRR 기술도 적용되었으며 터치 지원으로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하기 힘든 외부에서도 편하게 기기를 조작할 수 있었다.
120Hz 주사율을 지원해 부드러운 영상을 즐길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주사율에 따른 캐릭터 움직임을 카메라로 촬영한 모습으로 하위 프레임과 확연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이 90Hz 나 120Hz를 지원하는 것은 특유의 부드러운 화면 전환 때문이다. 이 제품도 60Hz 지원 제품들과는 확연히 다른 부드러움을 경험할 수 있다.
전면 좌측면의 모습으로 아날로그 스틱이 설치되어 있고 D패드, 스피커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MSI 센터 M 버튼과 보기 버튼 (앱이나 게임에 따라 매뉴얼기나 일시중지 등의 기능지원) 을 지원해 편의성을 높였다. 참고로 트리거와 조이스틱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물리적인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했다. 먼지 오염등에도 강해 잦은 야외에서의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참고로 이 제품은 최고급형 노트북과 같이 Hi-Res 오디오 규격의 DAC이 탑재되어 (72.5% 볼륨 향상, 58.3% 저주파 개선, 10% 이상왜곡 감소) 퀄리티 높은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이동중 이어폰을 연결해 음악감상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전면 우측면의 모습으로 좌측과 마찬가지로 스피커와 아날로그 스틱이 설치되어 있고 게임 플레이를 위한 ABXY 버튼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는 게임 설정등을 위한 메뉴 버튼을 비롯해 빍기나 소리등 주요 기능을 빠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빠른설정 버튼을 제공한다. (조이스틱은 다이아몬드 패턴의 테두리와 오목한 중심부 설계로 안정적으로 엄지 손가락을 올려두고 컨트롤 할 수 있다.)
상단부의 모습으로 양 측면에 범퍼와 트리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품은 물리적 접촉이 발생하지 않는 홀효과 트리거를 적용해 내구성을 높였으며 장시간 사용했을 때 일관된 성능을 제공한다. (사용자 피드백을 적극 반영하여 새롭게 디자인된 스틱, 범퍼, D-패드, 홀 효과 트리거는 더욱 부드러운 조작과 정밀하고 정확한 버튼 클릭을 지원한다.)
중앙에는 통풍구가 설치되어 있고 볼륨조정 버튼과 오디오 (COMBO) 단자, 저장용량을 늘릴 수 있는 microSD 카드리더 등을 제공한다. 또한 지문인식 센서 탑재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전원 버튼이 제공되며 두 개의 USB 4 단자를 지원해 빠른 데이터 전송은 물론 다양한 주변기기 연결이 가능하다.
2개의 USB 4 단자는 디스플레이 출력 기능을 지원해 고해상도 모니터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젠더를 장착하면 A타입의 일반 주변기기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D 충전도 지원해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65W PD충전기를 사용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참고로 이 제품은 강력한 성능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2개의 C타입 단자와 블루투스를 지원해 미니PC로 만들 수 있다. (자리를 옮겨가며 작업하는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이나 출장, 파견등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타입으로 연결하는 포터블 모니터와 모바일 키보드 & 마우스 정도만 같이 준비하면 어디서나 업무가 가능하다. (하이엔드급 슬림 노트북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강력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업무용 S/W 를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바닥면의 모습으로 원활한 공기 유입을 위해 팬이 설치된 부분에 통풍구가 설치되어 있고 그립감을 높이기 위해 깊은 굴곡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2개의 매크로 버튼을 제공한다. (전용 S/W를 통해 기능을 지정할 수 있다.)
제품 내부의 모습으로 열을 효과적으로 식혀줄 수 있도록 듀얼팬과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하단에는 51450mAh 대용량 배터리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4GB LPDDR5X 메모리가 빌트인 되어 있으며 스피커와 WI-Fi 안테나가 하단에 설치된 것도 눈에 띈다.
2230 규격의 SSD를 사용했던 전작과 달리 표준 사이즈인 2280 규격의 M.2 SSD를 사용해 추후 편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1TB PCIe 4.0 NVMe SSD가 기본 장착되어 있다.) @ 바닥면 분리 난이도 하 : 눈에 보이는 모든 볼트를 풀어주고 통풍구나 트리거 쪽의 빈틈을 공략하면 손쉽게 바닥면을 분리할 수 있다.
기본 제공되는 액세서리의 모습으로 C타입의 65W 전원 어댑터와 전원 케이블, 스타트 가이드, 퀵 매뉴얼을 제공한다. (전원 어댑터는 다양한 전압을 지원해 스마트폰 충전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박스를 스탠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별도로 판매되는 도킹 스테이션의 모습으로 기본적으로 스탠드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단자를 지원해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PC용도로 활용할 때 특히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별도로 제공되어 클로 뿐만 아니라 시중에서 판매되는 게이밍 UMPC 대부분과 호환된다.)
별도로 구입할 수 있는 전용 파우치의 모습으로 손잡이를 제공해 편의성을 높였으며 내부가 상당히 부드러워 스크레치 가능성을 최소화 했다. (이동이 많을 경우 파우치 구입을 추천한다.)
톡톡튀는 세련된 디자인과 선명한 대화면,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편하게 각종 버튼과 컨트롤러 등을 누를 수 있는점이 인상적이었다. 이번에는 S/W와 지원 기능을 살펴보고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게이밍 UMPC와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에 특화된 AMD 의 라이젠 Z2 익스크림 프로세서가 탑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8코어 16스레드 기반에 라데온 890M 내장그래픽을 지원해 하위 라인업과는 분명한 3D 성능차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텔 Wi-Fi 7 무선랜카드를 장착해 빠른 무선속도를 즐길 수 있으며 지문인식 센서가 장착되어 중요 자료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윈도우 11 Home 을 기본 지원해 번거로운 셋팅 작업 없이 구입즉시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AMD 아드레날린에서 HYPR-RX를 선택해 주면 프레임을 향상시켜 주는 각종 기술이 활성화 되어 좀더 쾌적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노트북과 달리 게이밍 UMPC에 특화된 MSI 센터 M을 제공해 편의성을 높였다. 손쉽게 게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아이콘이나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있으며 전용 버튼을 지원해 손쉽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빠른 설정을 지원해 주요 기능을 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시나리오 지원으로 퍼포먼스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시나리오는 자동으로 사용환경을 분석해 최적의 성능으로 작동하는 AI 엔진을 비롯해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하는 인듀어런스를 지원하며 수동 모드를 제공해 사용자가 전압과 팬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최고 성능에서 안정적으로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수동모드에서 SPPT와 FPPT는 최고로 설정하고 SPL은 32~33 정도로 설정하기 바란다.)
컨트롤러의 미세 설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자인 부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매크로 버튼 지정을 비롯해 진동 피드백의 조정도 가능하다. (디아블로 4 와 같은 게임 실행시 적에게 공격을 받으면 진동이 전달되어 높은 몰입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업데이트 지원으로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기기를 셋팅할 수 있는 AI 엔진을 지원한다. 또한 미스틱 라이트의 조명 효과도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스피커와 마이크의 노이즈 캔슬링 지원으로 깔끔한 사운드를 즐길 수 있고 배터리 캘리브레이션도 지원한다.
지문인식 센서를 장착해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설정-계정에 있는 로그온 옵션에서 윈도우즈 헬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지문을 등록해 빠른 로그인이 가능하다. 외부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MSI 앱 플레이어를 사용하면 모바일 게임도 즐길 수 있다. 키맵핑이 완료된 게임의 경우 별다른 설정없이 패드를 사용해 즐길 수 있으며 일부 유명 게임은 콘솔모드로 전환 후 원활하게 플레이 할 수 있었다. (지원되지 않는 게임의 경우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돌비 오디오를 지원해 컨텐츠나 사용자에 맞는 음색 설정이 가능하며 윈도우 11에서 기본 지원하는 휴대폰과 연결을 사용하면 스마트폰과 연결해 문자를 보내거나 전화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화면을 동기화 해 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기기가 완전히 꺼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눌러 부팅 시간을 측정했는데 10초가 소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모델 대비 부팅시간이 상당히 짧아졌다.) 기다림의 지루함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비전력 테스트를 진행한 모습으로 (최고성능 모드) 캐주얼한 작업에서는 20W 내외의 낮은 소비전력으로 작동했으며 게임을 실행하면 소비전력이 50W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대 55W 까지 올라갔으며 대부분 47~53W에서 게임이 실행되었다. 또한 소비전력이 낮아지는 스로틀링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배터리 사용시간을 테스트 하고 있는 모습으로 노트북과 같이 전원설정을 균형조정 (인듀어런스, 밝기 50%, 에어플레인 모드, LED OFF, 60Hz) 으로 지정하고 슬라이드쇼를 무한 반복해 본 결과 23시간 30분 동안 재생된 후 시스템 대기모드로 진입했다. 또한 1시간 동안 충전했을 때 72% 배터리가 충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아블로 4를 이용해 게임 플레이 테스트도 진행했는데 AI 엔진으로 지정하고 테스트 했을때 2시간 42분 플레이 된후 대기모드로 들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배터리가 10% 이내로 남으면 자동으로 성능을 낮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진동 피드백이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테스트였다. 진동을 비활성화 하면 더 오랜시간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다.
CPU 온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최고성능 모드, 실내온도 26도) 아이들 상태에서는 30도 후반으로 작동했으며 게임을 실행할 때 에는 80도 초반까지 온도가 올라갔다. (가끔씩 90도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지만 대부분 70도 후반~80도 초반대에서 동작했다.)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게임 실행시 노트북의 열분포를 확인하고 있는 칩셋 부분과 통풍구 온도는 상당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임 실행시 절대 통풍구를 가리지 말기 바란다.) 손으로 쥐는 그립부의 온도가 낮아 게임실행 내내 열로 인한 스트레스는 없었다.
팬소음 테스트도 진행했는데 아이들이나 캐주얼한 작업에서는 생활소음에 묻혀 팬소음이 거의 들리지 않았으며 게임을 실행하면 듀얼팬이 빠르게 동작해 팬소음이 커지기는 했지만 스피커 사운드에 묻혀 크게 신경쓰이지 않았다. @ 측정값은 순수한 팬소음이 아니고 팬소음을 포함한 사무실의 생활 소음이다. 이점 참조 바란다.
4K 동영상을 이용해 멀티미디어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IPS 타입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밝고 선명한 영상을 즐길 수 있었다. 대화면을 지원해 스마트폰과 확연히 비교되는 높은 몰입감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500nits 의 높은 밝기를 지원해 자연광이 비추는 야외에서도 높은 시인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 사운드 퀄리티도 상당히 뛰어난 제품으로 유튜브나 고화질 동영상 감상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IPS 타입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시야각으로 인한 불편없이 선명한 영상을 즐길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시야각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극단적인 각도에서도 반전이나 채도저하가 발생하지 않았다.
USB 4 단자를 지원해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상단의 사진은 외장 SSD를 이용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USB 3.2 Gen1과 확연한 속도 차이를 보여주었다.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잦은 유저들이라면 만족하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블루투스를 지원해 주변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해 활용할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외장 스피커와 키보드, 마우스를 이용해 페어링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원활하게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SB 4 단자가 디스플레이 출력을 지원해 2개의 모니터를 연결해 멀티테스킹 작업을 할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4K와 FHD 모니터를 연결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완벽하게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4K 모니터가 C타입 단자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전력도 공급되어 연결시 기기가 충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상편집 S/W 다빈치 리졸브를 이용해 랜더링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640MB, 920MB, 990MB 4K 동영상을 단일 동영상으로 랜더링, FHD 해상도에 H.264 비디오 코덱) 5분 04초가 소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블랜더 랜더링 테스트에서는 2분대의 빠른 랜더링 시간을 보여주었다. 또한 4K 동영상의 인코딩을 진행했을 때 3분 16초의 빠른 인코딩 시간을 보여주었다. (루나레이크 258V 탑재 모델과 비교해 영상편집 랜더링 속도는 느렸지만 블랜더 랜더링과 인코딩 속도를 빨랐다.)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문서작업 뿐만 아니라 고성능을 필요로 하는 전문작업용 S/W도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는 스코어를 보여주었다. (CPU 스코어가 상당히 높은 것이 인상적이다.)
3DMARK를 이용해 3D 성능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최신 게임도 옵션 조정을 통해 즐길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스코어를 보여주었다.
긱벤치 AI를 이용해 AI 성능을 확인해 보았는데 루나레이크가 탑재된 프리미엄 슬림 노트북들과 비교해도 떨어지지 않는 높은 스코어를 보여주었다. (NPU가 탑재된 루나레이크 258V 보다 높았다.) 또한 저장장치의 속도를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PCIe 4.0 NVMe SSD를 탑재해 빠른 속도를 경험할 수 있다. 특히 1TB 대용량을 지원해 최신 게임을 여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게임 테스트를 진행해 보도록 하자. 모든 게임은 FHD+ 해상도로 진행했으며 중간 옵션으로 설정후 테스트를 진행했다. 또한 최고성능으로 작동하는 수동 모드를 선택했으며 FSR 업스케일링 기술은 지원 게임에 한해 적용했다. (모든 게임은 동영상으로 촬영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동영상을 확인하기 바란다.)
상단의 사진은 오버워치 2를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FPS 게임은 패드사용이 익숙지 않아 키보드와 마우스로 플레이 했다.) 상단의 옵션에서 135-169 프레임으로 플레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0프레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스텔라 블레이드를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86-116 프레임을 보여주어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참고로 스텔라 블레이드는 핸드헬드를 위한 전용 그래픽 프리셋을 제공한다. 실제 게임을 즐길 경우 중간 옵션에 두지 말고 핸드헬드 옵션을 선택하기 바란다.)
검은신화 오공을 중간 옵션에서 실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52-66 프레임을 보여주어 깔끔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기존 제품들과 분명한 성능차를 경험할 수 있었다.)
싸이버펑크 2077을 중간 옵션에서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FSR에서 프레임 생성을 지원해 67-76 의 높은 프레임으로 플레이 할 수 있었다. 기대 이상의 높은 프레임이 아주 만족스럽다.
TEKKEN 8을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중간 옵션에서 54-60 프레임을 보여주어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P의 거짓을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중간 옵션에 FSR3를 최고성능 으로 설정하고 게임을 실행했을 때 91-105 프레임을 보여주어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디아블로 4를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FSR2로 설정했을 때 73-89 프레임을 보여주어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게임에서 Xess 와 같은 프레임 생성 메뉴가 없는 것이 아쉽다.)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포르자 호라이즌 5를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82-106 프레임을 보여주어 부드럽게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었다. 옵션을 높음으로 설정해도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몬스터 헌터 와일드 벤치마크를 실행한 모습으로 중간 옵션에서 59.99프레임을 보여주었다. 낮음 옵션으로 설정해야 하는 경쟁 모델들과 달리 중간 옵션에서도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AMD 라이젠 Z2 익스트림 프로세서가 인텔 루나레이크나 AMD 의 전작 프로세서와 비교해 얼마나 성능이 좋을 지 궁금했는데 테스트로 모든 궁금증이 해결되었다. 구형 AMD 프로세서 탑재 모델과는 엄청난 차이를 보여주며 루나레이크 258V가 탑재된 모델과 비교하면 많은 게임에서 유의미한 프레임 상승을 보여주었다.
특히 싸이버펑크나 검은신화 오공과 같이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게임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 것이 인상적이었다. (오버워치 2나 디아블로 4와 같은 일부 게임의 경우 루나레이크 탑재 모델의 성능이 더 뛰어났다.) 현재 판매되는 게이밍 UMPC중 성능만 보고 제품을 구입하고 싶다면 이 제품은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눈길을 사로잡는 세련된 디자인도 칭찬하고 싶다. 일반적인 게이밍 UMPC의 경우 고급스럽지만 다소 무겁고 딱딱한 느낌을 주는데 반해 이 제품은 네온 그린 컬러를 지원해 색다른 멋을 느낄 수 있었다. 외부에서 자주 사용하고 디자인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추천하고 싶은 모델이다.
밝고 선명한 대화면 디스플레이 탑재도 아주 마음에 든다. 16:10 비율의 8형 대화면을 지원해 게임을 즐기거나 기타 용도로 사용할 때 답답함이 느껴지지 않았으며 500nits 의 높은 밝기를 제공해 밝은 야외에서도 시인성이 떨어지는 느낌을 전혀 주지 않았다. 또한 120Hz 특유의 부드러움도 인상적이었으며 IPS 타입 특유의 진한 색표현도 인상적이었다.
긴 배터리 사용시간도 인상적이었다. Ai 모드로 설정해도 2시간 30분 이상 쾌적하게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고 인듀어런스 모드를 사용하면 3시간 이상 여유롭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PD충전을 기본 지원하고 충전속도도 상당히 빨라 외부에서 전원걱정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2개의 USB 4 단자와 무선랜 카드 지원으로 활용성을 높인점도 장점이라 할 수 있다. 2개의 모니터 연결이 가능해 작업이나 학습용 PC로 손쉽게 변신할 수 있으며 (CPU의 성능이 상당히 뛰어나 업무나 학습용 S/W 대부분을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로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해 편하게 조작할 수 있었다.
업그레이드의 용이함도 칭찬하고 싶다. 바닥면 분리가 쉬운 편이며 선택의 폭이 좁은 2230 규격을 버리고 대중화된 2280 규격의 M.2 SSD를 사용해 추후 간편하게 SSD를 교체할 수 있다.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적용해 대화면 모델임에도 뛰어난 그립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종 버튼이나 컨트롤러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점도 장점이라 할 수 있으며 직관적인 UI 로 다양한 기능을 터치만으로 손쉽게 설정할 수 있는 전용 S/W 제공도 인상적이었다.
강력한 성능으로 쾌적하게 윈도우 게임들을 어디서나 즐기고 싶은 유저나 편하게 휴대하며 게임은 물론 작업이나 학습과 같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필요한 유저들에게 추천한다.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