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프로세서는 라인업 별로 명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이엔드 게이밍 이나 전문작업용으로 사용되는 K프로세서는 오버클럭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전원부가 튼튼한 최고급형 메인보드를 사용해야 하며 메모리의 경우도 XMP를 지원하는 튜닝 메모리를 사용하거나 수동 오버클럭이 용이한 제품을 장착해야 높은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그에반해 노멀 프로세서는 오버클럭을 지원하지 않아 메인보드나 기타 부품 선택이 자유로운 편이다. K프로세서가 퍼포먼스에 특화되어 있다면 노멀 프로세서는 가성비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부품을 구성하는 것이 현명하다. 메인보드의 경우 굳이 Z시리즈를 구입할 필요가 없고 B시리즈나 H시리즈 칩셋이 장착된 모델을 사용해도 CPU의 성능을 100% 가깝게 끌어 올리는데 큰 문제가 없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ASUS H810M AYW GAMING WIFI 코잇은 게임이나 작업등 다양한 용도로 PC를 사용하지만 가성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저들을 위한 H810 메인보드로 견고한 파워 스테이지를 제공해 인텔코어 울트라 200S 프로세서에 최적의 전력을 공급하고 높은 효율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보급형 모델임에도 VRM 히트싱크와 써멀패드, 패시브 칩셋 히트싱크 지원으로 안정성을 한층 높였으며 2개의 DDR5 메모리 슬롯을 제공하고 최대 64GB까지 메모리를 확장할 수 있어 전문작업용으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보호 기능을 적용해 각팬 헤더를 과열 및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며 ASUS Fan Xpert 2+를 지원해 CPU 팬속도를 사용자 취향대로 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ROG 라인업에서나 지원하는 무선랜카드가 기본 장착되어 고속 무선랜과 블루투스 사용이 가능하며 DP와 HDMI 단자를 지원해 내장그래픽에서도 듀얼 모니터를 통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가격에만 초점을 맞춘 경쟁사들의 저가형 H810 메인보드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리라 예측된다. 리뷰를 통해 디자인 및 특징을 살펴보고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리뷰를 진행하는 ASUS H810M AYW GAMING WIFI 는 인텔 데스크탑과 서버 CPU 등의 국내 공급을 주도하고 ASUS, ECS, 삼성 등의 제품을 유통하는 에이수스 공인 대리점 코잇에서 유통 및 A/S를 진행하고 있다. 3년 무상보증을 지원하며 메인보드 사용중 문제가 발생했을 때 코잇으로 연락하면 빠르게 조치를 받을 수 있다.
풀KIT 의 모습으로 메인보드를 비롯해 퀵 매뉴얼과 2개의 SATA 케이블이 제공되며 WIFI 안테나와 I/O쉴드, 스탠드오프, 볼트 등이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ATX 폼팩터 메인보드로 244 x 222mm 의 크기를 지원한다. (B860M 메인보드 보다 조금더 작다.) 빅타워 PC케이스를 사용해야 하는 ATX 규격의 메인보드와 달리 크기가 작아 미니PC용 케이스나 슬림형 PC케이스 등에 손쉽게 장착해 사용할 수 있다.
기기의 디자인은 가성비에 특화된 모델이기 때문에 ROG 제품들과 같은 화려함은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전원부 히트싱크에 포인트를 주어 경쟁 모델대비 고급스러운 느낌을 자아내며 각종 슬롯이 일목요연 하게 배치되어 깔끔해 보인다. 특히 슬롯간 넉넉한 여유공간으로 그래픽카드나 쿨러 등을 장착할 때 간섭을 최소화 한 점이 마음에 든다.
미들타워 PC케이스에 메인보드를 장착한 모습으로 컴팩트한 크기의 메인보드 답게 여유공간이 상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이 많아 좀더 편하게 PC를 조립할 수 있다.)
이 제품은 LGA 1851 규격의 CPU 소켓이 장착되어 인텔 코어 울트라 시리즈2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다. 논K 프로세서인 인텔코어 울트라 225(F) 나 235, 285 등을 사용하면 만족스러운 성능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K프로세서도 장착은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 메인보드에서 CPU 오버클럭을 지원하지 않아 추천하지 않는다.)
참고로 소켓 크기는 12~14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던 LGA 1700 소켓과 대동소이해 기존에 사용하던 쿨러는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소켓주위의 공간이 넉넉해 대형 공랭쿨러도 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전원부의 모습으로 히트싱크를 지원하지 않는 일부 H810 메인보드와 달리 히트싱크를 지원해 안정성을 한층 높였다. 개별 모스펫을 이용한 6+1+1+1 파워 스테이지를 제공해 장착된 인텔 프로세서에 최적의 전력을 공급하며 이를 통해 효율성과 안정성, 성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최고급형 메인보드와 전원부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노멀 프로세서를 사용하는데 전혀 부족함이 없는 구성이다.
메모리 슬롯의 모습으로 DDR5를 지원하는 2개의 메모리 슬롯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대 6400 MT/s 속도 지원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적인 메모리를 편하게 장착해 사용할 수 있으며 듀얼채널 지원으로 빠른 속도를 즐길 수 있다. 특히 이 제품은 개별 메모리 모듈을 정밀 분석해 성능을 최적화 하고 문제 가능성을 정확히 찾아내는 DIMM Fit 기능을 지원해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였다.
시스템 전원 공급을 위해 24핀의 전원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2개의 CPU용 8핀 단자를 지원하는 상급 모델들과 달리 단일 8핀 CPU 단자를 지원한다. (65W TDP의 노멀 CPU를 사용하는데 전원 문제가 없다.) 또한 CPU 팬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고 측면에는 주소 지정이 가능한 두 개의 Gen2 RGB 헤더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명 효과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 상태확인을 위한 Q-LED는 지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PC케이스의 파워 LED 조명을 다르게 표시해 시스템의 문제를 감지할 수 있는 Q-LED 코어 기능이 제공되어 손쉽게 시스템을 점검할 수 있다.
그래픽카드 장착을 위한 PCIe 4.0x16 슬롯의 모습으로 견고한 스테인리스 스틸 일체형으로 구성된 SafeSlot Core+를 적용해 무거운 그래픽카드 장착시 파손이나 휘어짐 등을 방지하며 그래픽카드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대형 클립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클립이 작을 경우 그래픽카드에 가려져 볼펜 등으로 클립을 눌러주어야 한다.) @ 주변기기 연결을 위한 PCIe 4.0x1 슬롯도 제공한다.
2개의 NVMe M.2 슬롯이 제공된다. PCIe 4.0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2280 규격과 호환되어 흔히 사용하는 PCIe 4.0 NVMe SSD를 편하게 장착해 사용할 수 있다. (최고급형 메인보드와 달리 히트싱크는 제공하지 않는다. 이점 참조 바란다.)
기본 제공하는 스탠드오프와 볼트를 이용해 손쉽게 SSD를 장착할 수 있다. SATA 인터페이스와 달리 별도의 전원공급을 할 필요가 없어 튜닝 케이스 등을 사용할 때 깔끔하게 PC를 셋팅할 수 있을 것이다.
7.1 서라운드 사운드를 지원하는 리얼텍 ALC897 오디오 코덱을 장착해 풍부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즐길 수 있으며 고품질 오디오 캐패시터가 장착되어 퀄리티 높은 사운드를 제공한다. 또한 CR2032 베터리가 장착된 것도 확인할 수 있다.
4개의 SATA 슬롯을 지원해 여유롭게 저장장치를 장착해 사용할 수 있다. 6Gbps 지원으로 SSD나 HDD를 장착해 빠른 속도를 즐길 수 있다. 또한 PC케이스 전면의 USB 단자 사용을 위한 커넥터를 지원하며 팬 커넥터와 오디오 & S/PDIF 헤더가 설치되어 있다. (구형 장비 연결을 위한 COM 헤더가 지원되는 것도 눈에 띈다.) 또한 USB 헤더와 주소 지정이 가능한 Gen2 RGB 헤더를 지원한다.
단자부의 모습으로 4개의 USB 2.0 단자와 2개의 USB 3.2 Gen2 단자를 지원해 여유롭게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오디오와 이더넷 단자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니터 연결을 위해 HDMI 단자와 DP 단자를 지원하며 무선랜 안테나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도 지원한다.
메인보드 바닥면의 모습으로 깔끔하게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인보드 바닥면을 잡을 때 손에 상처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장갑을 착용하기 바란다.)
기본 제공되는 액세서리의 모습으로 퀵 매뉴얼과 2개의 SATA 케이블, I/O쉴드, WIFI 안테나, 스탠드오프, 볼트 등이 제공되며 메인보드 사용자를 위해 웹스토리지를 제공한다.
가성비에 메인보드 지만 전원부 히트싱크와 WIFI 등을 지원해 차별화를 꾀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이번에는 지원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고 시스템을 구성해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의 모습으로 인텔코어 울트라 5 225F 프로세서를 사용했다. 또한 7000MB/s 의 빠른 속도를 보여주는 SK하이닉스 P41을 비롯해 넉넉한 전원 공급을 위해 1250W 80PLUS GOLD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하고 마이크론 크루셜 DDR5 6000MHz 를 장착했다.
테스트에 사용된 인텔코어 울트라 5 225F는 다용도로 PC를 사용하는 대학생이나 직장인 들에게 딱 어울리는 메인스트림 프로세서로 전작인 14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와 달리 AI 딥러닝 가속화를 위한 NPU를 탑재해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며 DDR5-6400을 지원하고 최대 4.9GHz 클럭을 지원해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작업도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K 프로세서 대비 낮은 가격은 물론 쿨러도 기본 제공해 합리적인 가격에 고성능 PC를 만들 수 있으며 두 개의 코어를 하나의 다이에 통합해 워크로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분산해 성능을 최적화 하는 새로운 코어 마이크로 아키텍처 지원으로 강력한 성능을 경험 할 수 있다.
참고로 인텔 공인대리점인 코잇에서도 인텔코어 울트라 5 225F를 유통하고 있다. 인텔 정품 CPU는 공인 대리점을 통해 신속 정확한 점검과 빠른 교체가 가능하다. 박스에 부착된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하면 정품 여부 및 A/S 센터 연락처 확인이 가능해 문제가 생겼을 때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드라이버 허브에서 메인보드 드라이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드라이버 설치가 가능하다. 상단의 사진은 드라이버 허브 사이트에 이동한 모습으로 모든 드라이버를 편하게 설치할 수 있었다.
홈페이지에 최신 바이오스가 등록되어 있어 USB 메모리에 저장후 바이오스 도구 메뉴에 있는 EZ 플래시로 이동해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진행해 보았다. 셋팅이 간편해 초보자도 쉽게 업데이트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바이오스 업데이트시 ME도 최신 펌웨어가 있으면 함께 업데이트 해주기 바란다.)
이 제품은 H810 메인보드 임에도 WI-Fi 6 무선랜카드가 설칟되어 있어 유선랜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 편하게 PC를 사용할 수 있다. 고속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도 지원해 주변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ASUS 글라이드 X를 지원한다. 유선이나 무선 연결을 통해 태블릿PC나 스마트폰과 파일전송이 가능하며 화면공유와 제어 등이 가능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단의 사진은 디스플레이 확장을 테스트 하고 있는 모습으로 태블릿PC를 모니터 처럼 사용할 수 있었다.
ASUS 독점 AI인 기술인 ASUS AI 어드바이저를 통해 편하게 ASUS 제품에 관련된 궁금함에 대해 즉각적인 답변을 받을 수 있다. (현재 Ai 어드바이저는 영문만 제공되기 때문에 파파고나 구글번역 등을 활용하기 바란다.) 또한 노턴 360 디럭스 60일 무료 체험판을 제공해 시스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벤치마크 프로그램과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해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높은 스코어를 보여주었다. (동일 CPU를 사용했던 B860M 메인보드와 스코어를 비교했는데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SB 3.2 Gen2 단자를 지원해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상단의 사진은 외장 SSD를 장착해 속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1,000MB/s 가 넘어가는 빠른 속도를 보여주었다. USB 3.2 Gen1 단자를 지원하는 경쟁 모델들 대비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 모델이다.
CPU와 전원부가 가장 바쁘게 작동하는 벤치마크를 실행한 상태에서 (시네벤치 R23 멀티 3회 실행)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표면의 열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실내온도 16도) 과도하게 온도가 오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싸이버펑크 2077 벤치마크를 실행한 모습으로 4K 해상도에서도 원활하게 게임 플레이가 가능한 프레임을 보여주었다. RTX 4070 이상의 최고급형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면 더 높은 프레임으로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포르자 호라이즌 5 벤치마크를 최고 높음으로 실행한 모습으로 모든 해상도에서 높은 프레임을 보여주었다. (DLSS를 적용한점 참조하기 바란다.)
검은신화 오공 게임의 벤치마크를 실행한 모습으로 해상도별 프레임 변화가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옵션을 높음 정도로 낮춰주면 더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PC를 모니터링 하고 손쉽게 메인보드를 설정할 수 있는 Armoury Creat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CPU의 주파수와 온도, 사용량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게임이나 사용하는 S/W에 따라 팬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조명설정을 위한 Aura Sync 동기화는 물론 효과 설정도 가능하다.
프로파일 설정을 통해 편하게 원하는 셋팅대로 PC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게임 라이브러리 지원으로 즐기는 게임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업데이트 기능을 제공해 최상의 컨디션으로 PC를 사용할 수 있다.
바이오스에 진입한 모습으로 (부팅시 DEL 키를 연타하면 바이오스에 진입할 수 있다.) 기본적인 시스템 상태 확인이 가능하며 Q팬제어와 Q대시보드를 지원해 팬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메인보드 구성을 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EZ 시스템 튜닝에서 절전모드 선택으로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다.
바이오스는 손쉽게 주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EZ 모드 뿐만 아니라 디테일한 환경 설정이 가능한 Advanced 모드를 지원한다. 상단의 사진은 어드벤스드 모드를 실행한 모습으로 메모리, 기타 환경을 디테일하게 설정하거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메뉴가 제공된다.
기존에 테스트 했던 Z890 / B860 칩셋 기반의 ROG 메인보드와는 전체적은 퀄리티에서 차이가 느껴졌다. 하지만 가격이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가성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저들에게는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기본적인 구성 자체가 상당히 알찬 메인보드로 인텔 노멀 프로세서를 사용한다면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B860M 칩셋 메인보드 (메인보드를 제외한 모든 스펙 동일) 와 벤치 스코어와 게임 성능을 비교했을 때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능이나 부품 퀄리티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성능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비용부담을 최소화 하고 싶다면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고급기술 지원이라 말씀드리고 싶다. 일부 H810 메인보드의 경우 가격을 낮추는데 집중하다 보니 지원 기능이 너무 부실하고 안정성이 떨어지는데 반해 이 제품은 Wi-Fi 6 무선랜카드를 기본 제공해 편하게 인터넷을 사용하고 주변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었으며 USB 3.2 Gen2 단자를 지원해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했다. 뿐만 아니라 4K 모니터 연결이 가능한 DP와 HDMI 단자를 지원해 내장그래픽 환경에서도 듀얼 모니터 활용이 가능하다.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점도 아주 마음에 든다. 히트싱크를 제공하지 않는 일부 제품들과 달리 전원부와 패시브 칩셋에 히트싱크를 적용했으며 각 핀헤더를 광열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기술도 적용되었다. 또한 견고한 파워 스테이지로 전력 효율성을 높였으며 무거운 그래픽카드를 사용했을 때 슬롯이 파손되지 않도록 SafeSlot Core+ 기술도 적용되어 있다.
2개의 메모리 슬롯과 M.2 슬롯을 지원해 고성능을 필요로 하는 PC를 만드는데 어려움도 없다. 최대 64GB 용량을 지원해 32GB DDR5 메모리를 듀얼채널로 구성하면 전문작업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대용량 PCIe 4.0 NVMe SSD를 장착해 주면 속도와 용량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
ATX 메인보드 대비 작은 크기로 PC케이스의 제약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점도 장점이라 할 수 있으며 전용 S/W를 지원해 팬속도 설정은 물론 시스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점도 매력적인 부분이다. 또한 ASUS GlideX를 지원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점도 차별화된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가성비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안정성과 기능까지 챙기고 싶은 유저들에게 추천한다. 저가형 H810 메인보드와 확연히 비교되는 안정성과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으로 캐주얼한 작업은 물론 게임이나 전문작업 등의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