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의 대중화로 대부분의 유저들이 PC를 조립할때 SSD 를 메인 스토리지로 사용하고 있다. 노트북의 경우도 SSD가 기본 탑재된 모델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작업 만으로 HDD를 SSD로 교체할 수 있어 수요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SD의 가격 하락이 대중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할 수 있다. 10만원을 훌쩍 넘어가는 120GB 모델의 경우 현재 5만원 미만에 구입할 수 있으며 250GB 모델또한 10만원 정도에 구입할 수 있다. 500GB 이상의 고용량 모델의 경우 아직까지 가용비가 떨어지긴 하지만 120GB 이상만 사용 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많은 유저들이 SSD를 구입해 체감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삼성전자 750 EVO는 합리적인 가격에 고성능의 SSD를 구입하고자 하는 유저들을 위해 탄생한 모델이다. TLC 낸드 플래시를 사용해 가격을 낮추면서도 500MB/s 이상의 빠른 읽기/쓰기 속도를 지원해 쾌적한 PC사용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기존 제품대비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지원 기능 및 S/W, 성능등을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자.
☆ 본제품은 테스트 용 기기로 실제 판매 제품과 스펙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풀KIT 의 모습으로 대부분의 SSD와 마찬가지로 제품과 퀵 매뉴얼이 제공되고 있다.
100 x 69.85 x 6.8 mm의 크기와 45g 의 무게로 데스크탑PC 는 물론 노트북이나 미니PC 등에도 쉽게 장착해 활용할 수 있다. 특히 45g 의 가벼운 무게를 지원해 100g 육박하는 HDD가 장착된 노트북의 휴대성을 높이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기기의 디자인은 기존 삼성 SSD와 같이 깔끔하게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블랙 컬러를 적용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강조했으며 메탈 재질의 케이스를 사용해 NAND 플래시나 컨트롤러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해주는 역할을 한다.
기기 전면부의 모습으로 브랜드명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제품은 기존 EVO 시리즈와 같이 3년의 넉넉한 A/S 기간을 지원해 안심하고 활용할 수 있다.
삼성 750 EVO SSD는 35TBW (250GB 는 70TBW) 를 지원하며 플래시 기반의 제품답게 충격이나 진동으로 부터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다. (TBW 는 블럭의 쓰고 지우기 횟수를 말한다.)
기기 우측면의 모습으로 PC나 노트북등에 장착할 수 있도록 SATA 단자가 지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Gbps 의 속도를 지원하는 SATA III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540MB/s 의 읽기 속도와 520MB/s 의 쓰기 속도를 지원해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은 물론 게임 등에서 빠른 체감속도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고용량 모델과 달리 쓰기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일반적인 저용량 제품들과 달리 120GB 모델임에도 500MB/s 이 넘는 빠른 쓰기속도를 지원하는 것이 대단히 인상적이다.
기기 양 측면부와 바닥면에는 PC나 노트북에 장착할 수 있도록 홀이 설치되어 있다. 최근 출시되는 PC케이스의 경우 2.5형 베이를 지원해 손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3.5베이만 지원될 경우 브라켓을 별도로 구입해 장착할 수 있다.
삼성 750 EVO 는 SSD에 쓰기 버퍼를 생성해 읽기 속도를 향상시키는 터보라이트 기술이 적용되어 있으며 PC에 장착된 메모리를 캐시로 활용해 시스템 레벨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라피드 모드 기술 지원으로 성능 향상을 꾀했다.
여기에 AES-256 비트 하드웨어 암호화를 지원하며 TCG/Opal v2.0 표준과 IEEE 1667 프로토콜 준수를 통해 높은 데이터 보안성을 구현했다.
기기 바닥면의 모습으로 기기의 용량 및 인증등이 표시된 스티커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자인 부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HDD 대비 가벼운 무게를 지원해 휴대성을 고려한 노트북과 같은 디바이스나 외장하드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기기의 디자인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지원 기능 및 S/W 를 살펴보고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데스크탑 PC에 설치하거나 2.5형 HDD를 사용하는 노트북에 장착해 체감 성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니 PC 및 베어본 등에 장착해 빠른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약 7mm 의 두께를 지원해 슬림 노트북이나 울트라북 등에서도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용량의 파일들을 관리하며 빠른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할 경우 USB 3.0 외장하드에 장착해 활용할 수 있다. HDD 대비 2배 이상의 빠른 속도를 구현하기 때문에 훨씬 만족스런 업무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삼성 SSD 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Magician 이라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상단의 사진은 삼성 홈페이지를 통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모습으로 기본적인 디스크 정보가 제공되며 벤치마크 툴과 펌웨어 업데이트 메뉴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디스크의 일정 용량을 할당해 SSD의 퍼포먼스와 수명을 늘릴 수 있는 Over Provisioning 설정도 지원하고 있다.
Rapid Mode 설정을 통해 전체 시스템 성능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일정수준 이상의 하드웨어 스펙을 필요로 한다.) 다양한 데이터 모드 설정이 제공되는 것응 알 수 있다. (보급형 모델임에도 대부분의 기능 사용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복제 툴 Samsung Data Migration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원본 디스크보다 대상 디스크의 용량이 적을 경우 프로그램이 진행되지 않는 다른 프로그램과 달리 사용자정의 복제를 통해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메뉴가 없어 840 PRO 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했다.)
데스크탑 PC에 750 EVO를 셋팅하고 퍼포먼스 테스트를 진행했다. SATA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구형PC를 사용할 경우 SATA III 포트를 확인하기 바란다. @ 모든 테스트는 OS를 설치하지 않는 클린 모드에서 진행했다.
바이오스 에서도 SSD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바이오스 SATA 모드를 반드시 AHCI 로 설정하기 바란다. IDE 상태에서는 100% 성능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스마트나 NCQ, TRIM, DevSleep 등의 주요 기능이 지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체 벤치마크 툴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크리스탈 디스크마크, ATTO 디스크 벤치마크를 이용해 테스트를 진행한 모습으로 스펙상의 결과값과 큰 차이가 없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디자인 부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120GB 의 저용량 임에도 불구하고 500MB/s 이상의 읽기 속도를 지원하는 것이 대단히 만족스럽다.
AS SSD 벤치마크와 Anvil's 스토리지 유틸리티를 이용해 속도 테스트를 진행한 모습으로 기대했던것 만큼 빠른 속도를 보여 주었다. (일반적으로 AS SSD 벤치마크와 Anvil's 스토리지 유틸리티는 크리스탈 디스크마크, ATTO 디스크 벤치마크보다 스코어가 떨어진다.)
TLC 낸드 플래시를 사용한 대부분의 모델과 같이 일정용량 이상의 파일전송시 (캐시 버퍼보다 큰 파일의 쓰기적업시) 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 100MB/s 이하로 속도가 떨어지는 경쟁 모델과 달리 약 140MB/s 대의 속도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급형 SSD 시장을 강타할 만한 제품이라 평가하고 싶다. 경쟁 모델보다 높은 가격대를 유지했던 전작들과 달리 750 EVO 는 대부분의 보급형 모델과 비슷한 가격대로 출시되어 더큰 파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단연 퍼포먼스라 할 수 있다. 리뷰를 진행한 모델은 120GB 저용량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500MB/s 이상의 읽기/쓰기 속도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IOPS 도 상당히 높다. 일반적인 가정용, 업무용 PC에서 활용하는데 전혀 부족함 없는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전용 S/W 를 제공해 SSD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것도 큰 장점이라 할 수 있으며 마이그레이션 S/W 를 지원해 기존에 사용하던 PC나 노트북의 환경을 구성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넉넉한 A/S 기간을 지원하는 것도 인상적이며 다양한 데이터 보호 기술을 지원해 안심하고 PC를 사용할 수 있는것도 장점이라 말씀드리고 싶다.
TLC 낸드 플래시를 사용한 모델로 대용량 데이터를 쉴새없이 전송해야 하는 서버 및 엔터프라이즈 환경이 아니라면 사용에 불편은 없을 것이다. 합리적인 가격에 높은 성능을 구현하는 SSD를 구입하고자 하는 유저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큰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