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 대중화 되면서 삶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제 일일이 PC를 켜지 않고도 인터넷을 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강력한 성능이 더해져 고화질 동영상은 물론 3D 게임 등도 불편없이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무선기술 또한 발전을 거듭해 Wi-Fi로 간편하게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해 각종 기기를 무선을 연결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모두시스 Twingle MDS-3000 은 스마트폰의 미라캐스트 기술을 이용해 대화면으로 각종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로 연결 방법도 무척 간편할 뿐만 아니라 크기도 작아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간단한 설명 만으로는 쉽게 작동방식을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리뷰를 통해 디자인 및 특징, 사용 방법 등을 알아보고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자.
☆ 본제품은 테스트 용 기기로 실제 판매 제품과 스펙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구성품은 무척 단촐하다. 여러 기기를 복잡하게 연결해야 하는 기존의 무선 디스플레이와 달리 작은 본체 하나만으로 모든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모델로 전원 공급을 위한 USB 케이블 및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사용설명서 & 품질 보증서 등을 지원하고 있다.
84.3 x 35.4 x 9.3mm 의 크기와 30g 의 무게로 휴대성은 대단히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 가정용 뿐만 아니라 업무용 등으로 기기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 100% 만족감을 느끼리라 자신한다.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고 이동해 디지털 TV 나 프로젝터에 설치된 HDMI 단자에 기기를 연결하고 USB를 이용해 전원만 공급해 주면 준비가 완료되기 때문이다.
기기의 디자인은 무척 깔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버튼부를 최소화한 미니멀리즘 설계가 돋보이며 무광의 블랙 컬러를 적용해 고급스러운 느낌도 충분히 경험할 수 있었다. (조금 큰 USB 메모리와 같은 느낌을 받았다.)
기기 전면부의 모습으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방출할 수 있는 통풍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제품의 로고가 프린팅 되어 있다. (작은 기기에서 다양한 작업을 하다보니 열이 많이 발생한다. 작동중 기기를 만지면 뜨거운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기기 상단부의 모습으로 2개의 버튼이 준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 버튼은 5초 이상 눌러 제품을 재시작 하는 일종의 리셋 버튼이고 M/F 버튼은 짧게 2번 누를 경우 모드가 변경되며 (미라캐스트-DLNA-Wi-Di) 5초 이상 길게 누를 경우 공장 초기화가 진행된다.
기기 우측면의 모습으로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USB 단자를 지원하고 있다. HDMI 단자의 경우 전원공급이 되지 않기 때문에 (MHL 지원 단자 제외) TV 의 USB 단자와 기기를 케이블로 연결해 주어야 한다.
기기 좌측면의 모습으로 디지털 TV 및 프로젝터 등의 디스플레이에 연결할 수 있도록 표준 HDMI 단자를 지원하고 있다. 대부분의 디스플레이가 표준 HDMI 단자를 지원하기 때문에 호환성에 대한 걱정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기 바닥면의 모습으로 상단부와 마찬가지로 통풍구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자인 부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중 하나는 휴대성이다. 한손에 쏙 들어올 정도로 작아 주머니에 넣고 쉽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3g (노트포럼 자체측정) 의 가벼운 무게로 부담감도 전혀 없다.
기기의 디자인 및 기본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실제 테스트를 통해 어떤 기능을 지원하는지 알아보고 MHL 과 같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기기들과 비교해 속도에서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장착 방법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디지털 TV 나 프로젝터, 모니터 등은 후면과 측면에 HDMI 단자를 지원한다. 별다른 설정을 할 필요없이 HDMI 단자에 기기를 장착한 후 전원 공급을 위해 USB 케이블만 연결해 주면 모든 작업이 끝나게 된다. (단, USB 단자가 설치되지 않은 TV나 프로젝터, 모니터의 경우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USB 충전기를 이용해 외부 전원에 연결하기 바란다.)
Twingle MDS-3000 의 핵심 기능이라 할 수 있는 미라캐스트를 실행한 모습이다. @ 미라캐스트 란 : 스마트폰의 화면과 소리를 무선으로 TV (오디오 기기) 에 전달해 스마트폰 사용성을 높여주는 기술로 1080p 의 HD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며 최대 5.1채널 (AAC) 사운드를 지원한다. 기기간 직접 연결되는 Wi-Fi 다이렉트 방식으로 작동되며 구글 안드로이드 4.2부터 미라캐스트를 지원한다.
미라캐스트를 정식 지원하는 LG 옵티머스 G를 이용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환경설정-무선 및 네트워크에 있는 미라캐스트를 활성화 하면 기기를 검색하게 되고 선택해 주면 상단의 사진과 같이 '연결중' 이라는 표시가 뜬 후 연결이 완료된다. (작업표시창에 Wi-Fi 다이렉트가 연결되고 미라캐스트가 활성화 된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작업을 마치고 나면 스마트폰과 디지털 TV 의 화면이 미러링 되어 무선으로 각종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 유선으로 연결되는 MHL 도 약간의 딜레이가 발생한다. 미라캐스트가 무선 기술이기 때문에 유선에 비해 딜레이가 길 것이라 예측했는데 예상과 달리 딜레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동영상을 통해 자세히 확인하기 바란다.)
스마트폰에서 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모습으로 미러링 되는 다른 기능과 달리 스마트폰에 재생 버튼만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장시간 동영상을 감상할 경우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막기 위함이다.) 풀HD 동영상 재생을 지원하는 제품답게 별다른 버벅임 없이 깔끔하게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선으로 풀HD 해상도의 선명한 화질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은 이 제품의 가장 큰 매리트 중 하나라 생각한다.)
동영상 뿐만 아니라 유튜브와 같은 실시간 스트링 동영상도 깔끔하게 즐길 수 있으며 (재생해 보았는데 전혀 끊킴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TV가 없는 곳에서 모니터와 연결해 DMB를 통해 TV를 시청할 수 있다.
PC 웹사이트의 경우 스마트폰에서 보면 답답함이 크다. 하지만 MDS-3000 의 미러캐스트 기능을 활용하면 굳이 PC를 켜지 않고도 대화면을 이용해 간편하게 웹서핑을 즐길 수 있다. 또한 각종 게임을 즐기는 데에도 부족함이 없으며 영상 뿐만 아니라 음성도 지원되어 스마트폰에 저장된 MP3 파일을 감상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촬영한 사진을 일일이 PC로 옯겨 감상하는 유저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미라캐스트는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대화면으로 감상하고 싶을 경우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미라캐스트를 지원하지 않는 구형 스마트폰 이나 Wi-Di를 지원하지 않는 노트북 등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DLNA를 지원한다. (미라캐스트 상태에서 기기 측면에 설치된 M/F 버튼을 짧게 3번 눌러주면 DLNA 모드로 바뀌게 된다.) @ 미라캐스트는 안드로이드 OS 제품에서만 활용할 수 있지만 DLNA 의 경우 애플 아이폰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 DLNA 란?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무선 홈 네트워크 규격을 말한다. 개방성을 기반으로 하며 DLNA를 지원하는 디지털 기기들 끼리 유선을 사용하지 않고 Wi-Fi를 통해 영상, 음악, 사진 등을 네트워크로 공유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미라캐스트를 지원하지 않는 구형 스마트폰의 경우 DLNA를 통해 MDS-3000 과 연동할 수 있다. 우선 상단의 사진과 같이 플레이 스토어에서 JoyLink 나 iMediaShare를 다운받아 설치한 후 (필자는 조이링크를 설치했다.) 무선랜 리스크에서 검색된 MDS-3000을 연결해 주면 된다.
조이링크를 실행하면 사진과 같이 사진/음악, 동영상 메뉴가 활성화 되어 저장된 각종 멀티미디어 파일을 손쉽게 재생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TV가 미러링 되는 미라캐스트와 달리 기능면에서 제약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감상하고 있는 모습으로 슬라이드 쇼를 지원해 편의성을 높였으며 스마트폰에 재생버튼이 활성화 되어 원하는 사진을 빠르게 선택해 즐길 수 있었다.
사진이나 음악 감상 뿐만 아니라 동영상 재생도 지원된다. 상단의 사진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동영상을 감상하고 있는 모습으로 미라캐스트 와 같이 깔끔하게 재생되지는 않았지만 불편없이 즐길 수 있었다. (스마트폰과 TV의 거리가 다소 떨어져 있을 경우 끊킴 현상이 발생했다. DLNA를 이용해 동영상을 감상할 경우 스마트폰을 최대한 가까이 해 주기 바란다.)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노트북에서도 무선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WiDi를 기본 지원한다. HDMI 케이블을 이용하는 불편함 없이 무선으로 고화질 동영상이나 사진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다.
@ Intel WiDi 란? 인텔 기반의 스크린 쉐어링 기술로 인텔 칩셋이 탑재된 노트북에서만 작동된다. (인텔에서 권장하는 노트북의 스펙과 OS 등이 있다. 특히 인텔 CPU, 내장 그래픽, 무선랜 칩셋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한다.) 영상 뿐만 아니라 음성도 무선으로 즐길 수 있으며 DLNA 와 달리 고화질의 동영상도 불편없이 즐길 수 있는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
MDS-3000을 WiDi 모드로 선택한 후 노트북의 WiDi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MDS-3000 이 검색된다. 선택 후 연결 버튼을 누르고 TV에 보이는 PIN 번호를 입력해 주게되면 사진과 같이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게 된다.
WiDi 연결을 완료한 모습으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각종 설정을 할 수 있다. (장치 메뉴를 보면 MDS-3000 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처음 연결되면 복제 모드로 작동하지만 화면 해상도 (윈도우8 의 경우 윈도우키 + P) 를 통해 확장 모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니터의 해상도 설정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다. (HDMI 연결과 동일하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각각 사용하고 싶다면 확장 모드를 선택하기 바란다.)
모든 작업을 마치고 노트북에 저장된 풀HD 동영상을 재생해 보았다. 처음에는 다소 끊어지는 느낌을 주긴 했지만 중반 이후 부터는 끊어지는 느낌 없이 TV를 통해 완벽하게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트북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S/W를 문제없이 즐길 수 있을 것이다.) @ 동영상 프리뷰를 통해 자세히 확인하기 바란다.
사진 감상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노트북에 저장된 고화질 JPEG 파일을 재생하고 있는 모습으로 시원시원한 대화면을 통해 만족스럽게 감상할 수 있었다. (딜레이도 거의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기능을 활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은 없을 것이다.)
DLNA를 위해 설치했던 JoyLink를 이용해 MDS-3000 의 환경설정을 할 수 있다. (설정 버튼을 누른 후 스마트폰을 리모콘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단의 사진은 설정에 진입한 모습으로 한글도 지원되며 총 4개의 메뉴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 아이폰에서는 사파리 URL 입력창에 TV 화면에 보이는 Setup URL을 입력하면 된다. (예 : 192.168.59.254/remote)
네트워크 설정의 모습으로 장치의 이름 및 가상 AP 브리지 (더나은 스트림 품질을 제공하는 가상 AP 연결과 동일한 무선공유기를 통해 인터넷 망과 연결되는 인테넷 연결 지원) 설정 및 무선랜 (보안, 암호, 지역) 설정 등이 가능하며 가상 AP 설정도 가능하다.
@ 리뷰용 제품은 순수한 테스트용 샘플로 실 판매 모델에서는 다소 어색한 한글문구가 수정되어 출시된다. 이점 참고하기 바란다.
오디오 모드에서는 야간모드를 지정할 수 있으며 HDMI 출력 설정 및 립싱크 설정 (방향키를 이용해 립싱크를 밀리세컨드 단위로 조정) 이 가능하고 비디오 에서는 화면비율 선택 및 HDMI 설정, 90%로 표시되는 화면 크기를 줄이는 기능 (화면이 잘려서 나올 경우 사용), 1080p 24Hz 설정을 지원한다.
시스템 메뉴의 모습으로 언어 설정이 가능하며 초기화, 버전정보, 업그레이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모두시스 Twingle MDS-3000 디자인 & 구동 동영상]
작지만 알찬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음 제품을 접하고 미라캐스트 정도만 지원해 호환성이 떨어질 것이라 예측했는데 필자의 생각을 비웃듯 미라캐스트 이외에도 DLNA, WiDi 등의 기능을 제공해 다양한 기기들과 손쉽게 연결할 수 있었다.
Twingle MDS-3000 의 가장큰 장점을 필자는 편의성이라 말씀드리고 싶다. 기존에 테스트 했던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크기도 클 뿐만 아니라 설치나 작동법이 상당히 복잡해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 되었던데 반해 이 제품은 설치도 대단히 간편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이나 노트북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활용하기 때문에 복잡한 느낌이 전혀 없었다. (무선 방식이 아무리 편하다 한들 사용하는데 불편하면 결국 유선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MDS-3000 은 전혀 어렵지 않아 전자기기의 사용에 서툰 유저들도 만족스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뛰어난 무선 품질 또한 상당히 매력적인 부분이다. 특히 미라캐스트의 경우 풀HD 동영상 재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끊어지거나 느려지는 현상이 없어 사용에 불편이 없었으며 저가형 모델들과 달리 미러링 시 딜레이가 거의 없어 테스트 중 스트래스가 전혀 없었다.
뛰어난 휴대성 또한 큰 장점 중 하나라 말씀드리고 싶다. 대부분의 무선 디스플레이 기기들은 구성품이 많아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데 반해 이 제품은 한손에 쏙 들어오는 작고 가벼운 사이즈에 본체와 USB 케이블 만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휴대하는데 불편이 전혀 없다.
스마트폰의 편의성과 사용성을 높이고 싶거나 MHL 등의 유선 연결에 스트래스를 받는 유저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뛰어난 성능과 강력한 휴대성, 다양한 기능이 더해진 모델로 기대 이상의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