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지역 언제 어디서든지 인터넷 가능, KT의 차세대 통신서비스 '와이브로'
2007년 4월 4일 각 언론을 통하여 보도된 내용이다.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차세대 무선 초고속 서비스인 '와이브로' 서비스를 KT가 서울시 전역에 확대했다는 이야기이다. 와이브로는 이미 지난해 6월, 서울의 신촌,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지하철 분당선(선릉~오리) 및 일부 연결도로를 중심으로 한 KT를 비롯하여 고려대권을 비롯 한양대권, 신촌권등 대학권을 중심으로 서울 6개 지역에서는 SKT가 이미 상용화에 들어가있던 서비스이다. 사실 와이브로는 전국망 서비스가 -아직은- 불가능하다는 점과 부족한 단말기가 단점으로 지적되면서 상용서비스 이후 양사 합쳐 모두 가입자 3천여명이라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등 지난 3월부터 전국망 서비스에 들어간 SKT와 KTF의 HSDPA(고속데이터패킷접속) 서비스와 비교되면서 그동안 부정적인 전망이 상당했다.
4월 3일, KT는 'U-서울! KT WIBRO(와이브로)와 함께하는 축하행사'의 이름으로 서울 청계광장에서 서울시 및 정보통신부와 함께 화려한 행사를 통해 서울시 전 지역으로 확대를 선언하고 다양한 실속형 요금제도 출시한 것이다. 이로써 KT는 그동안 음지(?)에 머물러 있던 와이브로에 대하여 대중적으로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 와이브로 사업이 더욱 탄력받을 전망이다. 더불어 KT는 올해 말 개발완료를 목표로 상/하양 전송속도가 지금보다 2배 빠른 '와이브로II' 역시 출시할 계획에 있다.
WiBro는 Wireless Broadband Internet(무선광대역인터넷, 무선초고속인터넷 또는 휴대인터넷등으로 표현)의 약자로 2003년부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중심으로 이동통신 업체들과 함께 표준화 추진을 시작, 미국 전기전자기술협회(IEEE)에도 반영하는 등 한국이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는 국책사업이다. 와이브로는 통신을 기반으로 한 HSDPA와는 달리 무선 휴대 인터넷을 기반으로하는 서비스로서 시속 60Km 이내로 이동하면서 2.3GHz의 주파수 대역과 20Mbps 의 속도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으며 PC를 비롯하여 노트북, PDA등과 같은 기기에 와이브로 단말기를 설치하여 자동차 및 지하철등에서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과 같이 이동하면서도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서비스이다. HSDPA와의 단순 비교시 이동통신사들이 주도하고 있는 HSDPA 보다 저렴한 가격과 빠른 속도가 장점이다.
지난해 8월에는 삼성전자가 미국에 진출, 대표적 전국 기간통신망사업자인 스프린트 넥스텔이 삼성전자의 와이브로시스템을 4세대 플랫폼으로 채택하겠다는 발표로 한국이 주도하고 있는 와이브로의 세계 진출에 청신호를 밝혔고 이미 해외 여러국가들에서 상용화를 추진중에 있다.
현재 차세대 통신과 관련하여 CF를 중심으로 다양한 서비스들이 동시에 소개되고 있다. 이에 각 서비스들은 어떠한 것이지 -그 구분에 대하여- 잠시 짚고 넘어가자. 각 서비스들의 정의는 지난 기사를 통하여 소개한 바 있으니 참고 바란다.
참고 : 초고속 휴대 인터넷의 자유로움, T로그인 vs i플러그 |
SKT의 3G+ 와 KTF의 SHOW 는 WCDMA서비스로서 3세대 이동 통신 기술인 WCDMA의 속도를 발전시켜 -초기 화상통신을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탄생한 3.5세대의 HSDPA 기술을 이용하여 고화질의 영상통화와 고속 데이터 전송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SKT의 3G+는 3.5세대(Generation .5(플러스))를 의미한다.
참고 : 얼마전 등장했던 SHOW의 티저광고중 "어영부영 세월만 죽이다 언젠가는 내 이럴줄 알았지"'라는 버나드쇼의 묘비 문구는 3세대 통신 서비스에서 갈팡질팡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SKT를 빗댄 광고가 아니냐는 의견들이 화재가 되었었고 이에 뒤질 새라 SKT에서는 "보여주기 위한 '쇼'는 싫다, 나는 나만의 스타일을 만든다"라는 광고로 맞대응 하기도 했었다.
SKT의 T로그인 과 KTF의 i플러그 역시 영상전화와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HSDPA 망을 이용하는 서비스로 특정 모뎀등을 이용하여 노트북이나 PC등에 연결하여 WCDMA 네트워크에 접속,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3G+와 SHOW 가 지원 휴대폰의 부가 서비스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반면 T로그인과 i플러그는 HSDPA망을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자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KT 와이브로와 SK텔레콤의 와이브로는 통신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HSDPA와는 달리 무선 휴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서비스로서 HSDPA보다 조금은 저렴한 가격과 빠른 속도가 장점이다. 그러나 전국망 서비스가 가능한 HSDPA 보다 서비스 지역이 현재로서는 서울지역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부족한 이용 단말기가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지난 4일, 서울 전지역 서비스를 선언한 KT WIBRO(브랜드명) 서비스는 4월 현재, 서울 소재 47개 대학과 서울 전 지하철(5~8호선은 5월 이후 이용 가능)등 서울 전지역을 대상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선릉-오리간 분당선, 과천선, 인천공항철도, 분당-수서간, 분당-장지간의 고속도로, 서울-기흥구간의 경부고속도로 및 수도권 7개 도시의 17개 대학등 경기 일부 지역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그 외 지역의 경우 서울 전역 서비스에 대하여 최적화 작업 이후에 단계적으로 광역시 및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이용지역을 확대하겠다는 것이 KT측의 계획이다.
참고 : SKT의 경우 현재 서울 18개 지역 및 수도권 일부 5개 지역에서 와이브로 핫존을 구축하고 있으며 연내에 서울-경기지역에 50~60개의 와이브로 핫존을 추가할 계획에 있다.
KT WIBRO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시 최대 18.4Mbps의 다운로드 속도와 최대 4Mbps의 업로드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평균 3Mbps의 다운로드 속도 및 평균 1.2Mbps 의 업로드 속도를 낸다. 이는 현재 범용적으로 이용중인 유선의 ADSL의 다운로드 속도와 비슷한 수준이다.
현재 와이브로와 곧잘 비교되는 HSDPA는 최대 14.4Mbps의 다운로드 속도와 최대 2Mbps의 업로드 속도와 함께 평균 1Mbps 의 다운속도 및 0.3Mbps의 업로드속도를 가지고 있어 속도면에서는 와이브로가 강세이다. 또한 음성 및 데이터 혼용방식인 HSDPA와 달리 와이브로는 전 대역을 데이터 전용 으로서 채널을 공유하는 Sharing 방식을 이용하고 있어 사용자가 많아도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이 KT측의 설명이다.
와이브로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지원 단말기 역시 다양해질 전망이다. 현재 KT 와이브로를 이용할 수 있는 전용 단말기는 와이브로폰(스마트폰/SPH-M8100), 와이브로 노트북(삼성 센스 Q35/KTW), 와이브로 모바일PC(삼성 디럭스 미츠 SPH-P9000)등이 있으며 기타 일반 노트북에서 활용 가능한 와이브로 PCMCIA카드(SPH-H1100) 및 와이브로 USB(SPH-H1200, 와이브로+HSDPA USB 동글)등이 출시되어 있는 상태이며 와이브로 모바일 PC인 디럭스미츠를 제외하고는 서울전역 36개 KT프라자등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또한 각 단말기와 접속모뎀등은 일정수준의 보조금 혜택이 존재하며 스마트폰의 경우는 휴대폰 보조금까지 받을 수 있다.
또한 KT는 상반기 중으로 LG의 와이브로폰과 와이브로 노트북을 비롯하여 와이브로방식과 TDMB를지원하는 와이브로 USB 및 PMP등 다양한 단말기들을 추가로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롭게 출시하는 와이브로 지원의 스마트폰에서는 풀브라우징(PC 인터넷 화면 그대로 볼 수 있는 기능) 웹서핑은 물론 인터넷과 연계된 아래와 같은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한다.
KT는 서울 전지역 서비스확대와 함께 실속형 프로모션 요금제등을 추가로 선보였다. 프로모션 요금은 2007년 12월 31일까지 가입이 가능하며 2008년 3월 31일까지 이용이 가능하다.
[프로모션 요금]
상품명 |
기본이용료 |
기본제공 데이터량 |
초과이용료 |
실속선언 |
10,000원 |
1G |
25원/MB |
자유선언 |
19,800원 |
무제한 |
- |
[표준요금]
상품명 |
기본이용료 |
기본제공 데이터량 |
초과이용료 |
슬림 |
10,000원 |
500MB |
50원/MB |
베이직 |
20,000원 |
2GB |
25원/MB |
스페셜 |
30,000원 |
4GB |
10원/MB |
프리미엄 |
40,000원 |
6GB |
7원/MB |
[W캠퍼스 요금]
상품명 |
기본료(월정액) |
서비스 내용 |
비고 |
슬림 |
월 3,000원 |
고객이 지정한 캠퍼스 지역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무제한 이용 |
고객이 선택한 캠퍼스 1개 지역에 한함 |
[선택형 요금]
상품명 |
기본료(월정액) |
서비스 내용 |
비고 |
Fun 무제한 |
월 3,000원 |
FUN 패키지 이용시 무료 |
*상품 2개 가입시 5천원 |
Life 무제한 |
월 3,000원 |
Life 패키지 이용시 무료 | |
UCC 무제한 |
월 3,000원 |
UCC 패키지 이용시 무료 |
KT WIBRO 를 비롯한 기타 자세한 사항은 KT의 모바일/관련상품 정보 사이트, KT모바일(www.ktmobile.co.kr)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노트포럼 | 이진성 | mount@noteforum.co.kr
저작권 (c)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