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테슬라 K10, 과학 시뮬레이션 성능 가속할 것
엔비디아(CEO 젠슨황, www.nvidia.co.kr)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개최중인 국제슈퍼컴퓨팅희의(Internatioanl Supercomputing Conference)에서 탄성파 처리, 생명과학 및 비디오 처리에 이르기까지 인기 고성능 컴퓨팅(HPC)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엔비디아? 테슬라(Tesla)? K10 GPU의 새로운 벤치마크를 공개했다.
테슬라 K10 GPU는 엔비디아의 새로운 케플러(Kepler)™ 아키텍처에 기반하며, 업계 최고의 단정도 성능(4.58 테라플롭)과 메모리 대역(초당 320GB)을 단일 가속장치에서 제공한다. 최신 인텔 샌디 브릿지(Sandy Bridge) CPU 대비 단정도 플롭은 12배, 메모리 대역은 6.4배나 높다.
▲국방(비디오 분석, 비디오 안정화, 정사보정, 컴퓨터 비전), ▲생명과학 및 첨단 소재(분자동역학), ▲원유 및 가스(탄성파 분석, 역시간 구조보정(RTM)),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비디오 편집, 비디오 렌더링/트랜스코딩, 레이 트레이싱) 등 고성능 컴퓨팅 4대 주요부문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전산집약 어플리케이션으로 테스트한 결과 테슬라 K10 GPU는 CPU 및 이전 세대 GPU를 뛰어넘는 놀라운 성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엔비디아측은 설명했다.
엔비디아의 수미트 굽타(Sumit Gupta) 테슬라 비즈니스 시니어 디렉터는 "테슬라 K10 GPU는 전체 어플리케이션 성능에 큰 영향을 끼치는 부동소수점연산과 메모리 대역 수치가 특히 뛰어나다"며, "덕분에 개발자 측에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과학, 엔지니어링 및 상업 분야 선두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크게 늘릴 수 있다"고 밝혔다.
선두 생체분자학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인 AMBER로 테스트한 결과, 4개의 테슬라 K10 GPU는 불과 몇 년 전 여러 대의 랙에 걸친 서버에서보다 훨씬 뛰어난 결과를 기록해 세계 성능 기록을 갱신했다.
이 테슬라 시스템은 23,558 원자분자에서 하루 만에 76 나노초 컴퓨터 시뮬레이션 시간 성능을 달성, 작년 4개의 테슬라 M2090이 달성한 기존 기록을 갱신했다. 앞으로 수천 명의 개별 과학자들에게 슈퍼컴퓨팅 성능을 제공해 신약 및 첨단소재 개발 등의 분야에서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샌디에이고 슈퍼컴퓨팅 센터(San Diego Supercomputing Center)의 로스 워커(Ross Walker) 연구조교수는 "생체분자 분야에서 시뮬레이션 시간을 수 나노초만 늘려도 복잡한 생물체의 행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의 역량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며, "단 하나의 테슬라 K10로 일부 초대형 CPU 클러스터의 성능조차 뛰어넘을 수 있다니 지금까지도 놀라움이 가시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테슬라 K10은 다양한 질병 및 장애에 대한 치료법 연구를 가속시킴으로써, 연구자들에게 막대한 혜택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테슬라 K10 GPU는 또한 생명과학 연구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인 LAMMP에서도 최고의 성능을 제공한다. LAMMPS 레너드 존스 리퀴드 벤치마크(Lennard Jones Liquid Benchmark)로 테스트한 결과, 단일 테슬라 K10 GPU는 테슬라 M2090 GPU보다 80% 높은 성능을 제공하며, 64개 x86 CPU 클러스터에 맞먹는 성능을 제공한다고 엔비디아측은 설명했다.
엔비디아 테슬라 GPU는 원유 및 가스 탐사 산업의 탄성파 처리, 컴퓨터 비전 산업의 이미지 처리를 담당하는 역시간 구조보정(RTM) 어플리케이션에서 연달아 최고성능을 제공하고 있다. 브라질의 국영에너지회사 페트로브라스(Petrobras)는 동일한 파워 엔벨롭(Power envelope) 내 테슬라 K10 GPU 사용 시 테슬라 M2090 GPU 대비 RTM 어플리케이션을 1.8배 가속할 수 있었다.
새로운 엔비디아 테슬라 K10 GPU는 아프로 슈퍼컴퓨터 솔루션(Appro Supercomputer Solutions), 델(Dell), HP, IBM, SGI 및 슈퍼마이크로(Supermicro) 등 선두 OEM과 엔비디아 유통 협력사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엔비디아 테슬라 GPU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www.nvidia.co.kr/tesla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종렬 기자 obtain07@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